01.CALS의 개념
美 정부가 조달ㆍ보급 등에 관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전자처리하기 위해 도입
02.도입배경
90년대 후반 건설분야도 사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美 정부의 CALS 도입
03.시스템 구축
건설기술관리법에 건설정보체계 마련을 위해 근거규정을 신설하고 시스템 구축(’99년)
효과
국토교통부의 도로 사업에 대한 전산처리로 생산성ㆍ투명성 향상(업무처리, 자료활용 등에 따른 단축시간을 비용으로 환산 시 연3,000억 절감)
도입배경
- 건설사업정보화(CALS)를 통한 건설사업의 효율성 제고 및 경쟁력 강화
건설사업의 생산성 향상 및 효율성을 제고
- 건설사업 수행절차 개선
- 건설사업 전단계의 디지털화
- 건설행정 증대 및 투명행정
추진 목표 및 전략
- 01.건설건설정보 표준을 범정부 차원으로 확산 전략 : 건설정보표준의 고도화
- 02.범정부 건설사업정보 통합체계 구축 전략 : 범정부로 확산 추진
- 03.건설ICT 융복합 기술 개발ㆍ적용 전략 :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융복합 강화
통합정보환경
기획>설계>시공>유지관리
- 일반국민
- 국토교통부 소속기관
- 국토교통부 산하기관
- 국토교통부 유관기관
- 건설업체
- 정부기관
- 지방자치단체
- 해외기관
- 학회 및 협회
- 타 산업분야
- 연구기관
기획>설계>시공>유지관리
건설사업생애주기지원
국토교통부 건설사업정보화
- 정부기관
- 국토교통부본부
- 국토교통부 소속기관
- 국토교통부 산하기관
- 국토교통부 유관기관
- 지방자치단체
- 정책결정자
- 업무담당자
- 민원인
- 설계사
- 시공사
- 감리단
- 점검ㆍ진단등 유지관리업체
- 감정 평가기관,품질검사 전문기관
건설사업정보화(CALS : Continuous Acquisition & Life-cycle Support)
건설사업의 기획, 설계, 시공, 유지관리 등 전과정의 정보를 발주자, 관련업체 등이 전산망을 통하여 교환ㆍ공유하기 위한 통합 정보화 전략
관련법령 및 규정
- 『건설기술 진흥법』 제18조(건설기술정보체계의 구축), 제19조(건설공사 지원 통합정보체계의 구축)
- 『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』 제41조(건설공사 지원 통합정보체계의 구축ㆍ운영)
- 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(국토교통부훈령 제1573호)
- 건설사업정보 운용지침(국토교통부고시 제2018-910호)
- 건설기술진흥법령에 따른 위탁업무 수행기관 등 지정(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-1177호)
-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(국토교통부고시 제2021-993호)
건설사업정보화(CALS) 단계별 추진목표
- 건설사업 과정의 정보화를 촉진하고 그 성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5년 단위의 법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중
확산Ⅰ융복합 : 4차 기본 계획(13년~17년)
비전
스마트 건설사업정보체계 구축으로 국가 건설사업 관리의 경쟁력 강화
목표
건설정보 표준을 범정부 차원으로 범정부 건설사업 정보 통합체계 확산,건설ICT 융복합 기술 개발ㆍ적용
01.개발ㆍ기반구축
1차 기본계획 (98년~02년)
02.운영ㆍ안정화
2차 기본계획 (03년~07년)
03.2차 기본계획 (03년~07년)
3차 기본계획 (08년~12년)
04.확산ㆍ융복합
4차 기본계획 (13년~17년)
추진경위
- 98년 : 제1차 건설CALS 기본계획 수립
- 99년 : 건설인허가시스템 개발, 도면표준화 연구
- 00년 : 건설사업관리시스템(계약사용, CITIS) 개발 등
- 01년 : 건설사업관리시스템(기관용), 용지보상시스템 개발
- 02년 : 건설사업관리시스템 및 용지보상시스템 등 안정화
- 03년 : 제2차 건설CALS 기본계획 수립,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개발
- 04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건설CALS 단체표준 공고
- 05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표준 개발
- 06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 및 리모델링, 건설CALS포탈시스템 개발
- 07년 : 제3차 건설CALS 기본계획 수립, 시스템 운영ㆍ표준 개발, 첨단 IT 응용기술 개발
- 08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표준 개발ㆍ운영, 건설CALS 성과관리체계 구축
- 09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표준 개발ㆍ운영, 건설사업관리시스템 기능개편
- 10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표준 개발ㆍ운영, 건설CALS포탈시스템 개편
- 11년 : 건설CALS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 운영ㆍ기능개선, 표준 개발ㆍ운영
- 12년 : 제4차 건설사업정보화(CALS) 기본계획 수립, 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, 건설사업정보시스템과 항만건설통합정보 시스템 통합, 표준 개발ㆍ운영
- 13년 : 건설인허가시스템 리뉴얼 등
- 14년 : 작업분류체계 적용 분야 확장 및 개선 방안 마련, 해외건설기술정보 DB구축
- 15년 : 건설사업정보 단위위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, 빅데이터 활용기술 연구 등
- 16년 : WBS기반 공정ㆍ공사비 시각화 및 기술정보 확충 등
- 17년 : 제5차 건설사업정보화(CALS) 기본계획 수립
- 18년 : 웹표준 기반의 시스템 운영환경 개편, 통합DB설계 및 건설사업정보시스템(기관용) 기능개편
- 19년 : 건설사업정보시스템(대민용) 기능개편 및 건설CALS 정보공개서비스 구축
- 20년 : 온라인 설계·준공도서 성과품 전자납품시스템 개발 등
- 22년 : 제6차 건설사업정보화(CALS) 기본계획 수립
국토부에서 추진중인 건설사업정보화(CALS) 현황
- 건설사업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
- 건설사업의 전(全)과정에서 발생되는 건설정보를 상호 교환 및 공유하기 위해 총 5종의 건설사업정보 단위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영 중이며 현재 도로 분야에 적용 중임
건설사업정보시스템
기획>설계>시공>유지관리
- 건설사업관리시스템(발주기관용) : 공사현황정보의 집계를 통한 발주기관의 사업관리 업무 지원
- 건설사업관리시스템(계약사용) : 건설사업 관련 전자문서 유통, 공사현황정보 보고
- 용지보상시스템 : 용지보상 업무 전 과정을 전자적으로 처리
- 건설인허가시스템 : 47종의 건설인허가(도로점용 등) 신청 및 처리
-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: 일반국도의 시설물 제원, 점검ㆍ진단 및 보수ㆍ보강 등 유지관리 정보 관리
- (목적) 건설사업정보화(CALS) 추진으로 건설사업 전 단계의 디지털화, 건설사업 수행절차 개선, 자료 교환 및 공유등을 통해 건설사업의 생산성ㆍ효율성 향상 및 투명행정 실현
- 건설사업정보시스템(5종) : 건설사업관리, 시설물유지관리, 건설인허가, 용지보상, 건설사업정보포털시스템
- 건설사업표준(6종) : 전자도면작성표준, 도면정보교환표준, 전자문서표준, 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, 디지털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, 건설정보모델(BIM) 작성ㆍ납품 공통기준
- 건설기술정보시스템(2종 DB) : 건설기술정보DB, 해외건설기술정보 DB
건설사업정보포털시스템
설계ㆍ시공ㆍ감리업체:공사정보
보상위탁기관:보상위탁자료
민원인:인허가신청ㆍ조회/발급
용역업체:점검ㆍ보수결과
건설사업정보포털시스템
국토교통부 : 솔넷(SOLNet) / 한국토지주택공사ㆍ한국도로공사 : 설계VE시스템
건설사업관리시스템
국토교통부 : 온나라시스템, 건설사업정보(KISCON) / 조달청 : 나라장터
용지보상시스템
기획재정부 : d-brain / 행정자치부 : 행정정보 공동이용센터 / 국토교통부 : 토지재결정보, 국유재산 평가기관 : 법인전산통합 / 국세청 : 홈텍스시스템 / 서울지방국토관리청 : 증빙서류뷰어
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
한국시설안전공단 : 시설물정보관리(FMS) / 국토교통부 : 과태료부과시스템, 교량통합관리시스템
건설인허가시스템
기획재정부 : d-brain / 행정자치부 : 전자지불, 공공I-PIN, 주민등록, 전자민원서류, 민원24, 위텍스 국토교통부 : 국유재산, KLIS, 민원마당, 메아리시스템, 전자결재
- 건설정보 표준
- 전자도면 작성표준, 도면정보 교환표준, 건설정보 분류체계, 전자문서 표준 등 총 6개의 표준이 제정되어 운영중임
건설사업정보화(CALS) 추진체계
- 담당부서 : 국토교통부 건설정책국 기술정책과
- 전담기관 : 한국건설기술연구원(지정근거 : 건설기술진흥법 제19조 제6항)
- 사업추진체계 및 역할
국토교통부 기술정책과
기술정책과 건설사업정보화(CALS)총괄 건설사업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
건설사업정보화 정례협의회
건설사업정보화(CALS) 계획,결과 등 심의ㆍ평가
유관기관(소속ㆍ산하기관등)
발주기관별 건설사업정보화(CALS) 계획 수립 및 시행
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담기관
건설사업정보시스템 및 표준 구축운영 세부사업계획 수립ㆍ추진
실무위원회
단위 시스템별 실무분과
외부전문가 심의위원회
토목/건축/전산 전문가
건설정보 표준위원회
전문분과
건설사업정보화(CALS) 활용효과
- 건설정보의 공유 및 재활용을 통한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 실현
- 기획ㆍ설계ㆍ시공ㆍ유지관리 등 건설사업 수행단계의 디지털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관리비용 절감
- 건설정보 표준의 활용을 통한 설계 및 준공도서의 효율적인 관리 및 비용 절감
- 건설사업 전단계의 정보공유를 통한 공공 및 민간 건설공사의 품질 향상과 부실공사 근절 기여